EasyExcel / 쉽고 편한 엑셀



 

○ 수시탭 > 함수라이브러리 > 날짜및시간 > EOMONTH 선택

image




'유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몰카  (0) 2015.02.05

일본몰카

유머 2015. 2. 5. 13:52


'유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못생길수록 추위 더 느껴 sbs뉴스  (0) 2015.02.08


자동로그인설정

1. 시작 > 실행 > netplwiz



2. 기본적으로 사용자 >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입력해야 이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음" 체크가 되어있음


3. 사용자 >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입력해야 이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음" 체크 해제


4. 사용자 이름, 암호 물어봄, 로그인시 아이디, 패스워드 입력



5. 재부팅하면 적용 완료!



'Easy PC > 운영체제(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7 설치후 해주어야 할 작업들  (0) 2014.09.03


1. 윈도우7 설치

2. 관리자 권한 얻도록 하기 : (rlagudwn1052님 블로그 바로가기)

2. 자동로그인설정 : netplwiz > administroator 계정 넣기 (자세히 보기)

3. 저사양의 경우 작업

3-1. 최적성능으로 설정

3-2. 바탕화면 이미지 --> 단색으로 변경

4. 원격접속하는경우 원격접속 되도록

5. 무료 프로그램 설치

6. 시작프로그램에 등록된 쓸 데 없는 프로그램 제거

7. 각종 폴더의 바로가기 바탕화면에 등록

8. 폴더 옵션 변경

1. 확장자 보이기

2. 숨김파일 보이게 하기

3. 


'Easy PC > 운영체제(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로그인설정  (0) 2014.09.16


1. 리뷰안

리뷰안테크  850X Series 850X1 (128GB)_이미지

○ SSD가격전쟁의 종결자 리뷰안 850X (스마트PC사랑, 2014.07) (바로가기)

○ 오래쓰고 막써도 빠른 가성비 짱 SSD, 리뷰안테크 850X 시리즈 (브레인박스, 2014.06.14) (바로가기)

- 다나와 최저가 기준(14.08.05)  66,920 원 (바로가기)

○ [리뷰안테크 850X1]가격과 성능 밀당하는 가성비 SSD (씨넷, 2014.08.07) (바로가기)

- 다나와 최저가 기준(14.08.07)  69,010 원 (바로가기)





○ 구축한 이유 : 저는 집에 둘째가 태어나면서 아이와 같이 생활하다 보니, 여러가지 소음이 없는 게 좋을것 같아서 무소음 PC로 바꿔보았습니다.

○ 구입시기 : 2013년 8월

○ 제품명

CPU cooler : Nofan CR-95c -6만

PSU (파워) : 시소닉 X-400 Fanless 80Plus Gold -13만

CASE : Nofan Cs-60 -3만


Nofan CR-95c (바로가기)


시소닉 X-400 Fanless 80Plus Gold(바로가기)

Nofan Cs-60 -3만 (바로가기)




모두 다해서 20만원에 중고로 구입하였습니다. 제품들을 중고로 구입한 이유는 모터가 들어간다면 사용하면 할 수록 고장이 나겠지만 모터가 없는 제품이다보니 새 제품과 중고제품이 차이가 없을것 같다고 판단했습니다. 

1년째 쓰고 있지만 파워가 동작안해서 A/S받았고 (리퍼로 교환받음) 그 이후로는 고장없이 잘 쓰고 있네요~ 만족합니다. 


○ 장점

소음 : 처음에 DVD롬 체크하는 기계음 빼고는 소음이 전혀 없습니다. 발열도 별로 없고요

먼지 : 팬이 돌지 않아서 먼지도 잘 안생깁니다.



○ 단점 : 조용해 진 대신에 다른 제품의 소음이 상대적으로 크게 들립니다. 그래서 추가작업이 자꾸 들어갑니다 ^^;

저 같은 경우에는 하드 돌아가는 소리가 너무 크게 들려서 외장하드를 쓰다가, 그것도 켤때마다 소리가 들려서 지금은 WD NAS를 구입하여 NAS를 주방 수납장으로 보내버렸습니다. 
그래서 공유폴더를 통해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고요, 백업할때만 외장케이스 잠깐 켜서 NAS 데이터를 별도 외장하드로 백업하고 있습니다.
또 다른 단점으로는 LED 불이 아니면 켜져있는지도 잘 모르고 안끌때가 가끔 있습니다 ^^


'Easy PC > PC 하드웨어-기본사항' 카테고리의 다른 글

SSD 총정리  (0) 2014.05.29
컴퓨터의 구조에 대해서  (0) 2014.05.29


Samsung SSD 830 Series 128Gb 2,5" SATA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state drive, SSD),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solid state disk[1][2][3])는 반도체를 이용하여 정보를 저장하는 장치로 반도체 드라이브, SSD라고도 일컫는다.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는 순수 전자식으로 작동하므로 기계식인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문제인 긴 탐색 시간, 반응 시간, 기계적 지연, 실패율을 크게 줄여 준다. 반면에 DRAM이 아닌 플래시 메모리가 적용된 SSD의 경우, 데이터 접근 시간이 아닌 연속적인 읽기와 쓰기에 대해 하드 디스크보다 속도가 낮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최신 기술이 적용된 SSD의 경우,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이상의 읽기와 쓰기 속도를 낼 수 있는 것도 있다.


출처 : 위키피디아 (바로가기)


SSD는 한마디로 메모리로 만든 저장장치 입니다. USB가 저장용량이 많이 켜져서 하드디스크로 쓴다고 생각하면 이해가 빠르겠습니다. 

기존에 많이 쓰고 있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는 안에 기계장치가 들어있습니다. 하드디스크 안에는 아주 작은 모터가 빠른속도로 회전하면서 디스크에 있는 데이터를 읽고 씁니다. 따라서 기계장치로 인한 특성에서 벗어날 수 없습니다. 

하지만 SSD는 메모리이기 때문에 하드디스크와 대비되는 근본적인 장점이 생겨납니다. SSD의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속도가 빠르다

  • 하드디스크는 데이터를 읽기 위해서 모터가 돌고 정해진 디스크위치로 이동해서 읽어야 합니다. 반면에 SSD는 전자적으로 데이터에 접근하기 때문에 비교가 안되게 빠릅니다.

2. 소리가 적다 (거의 없다)

  • 기계장치가 아니고 전자장치이기 때문에 소리가 안들립니다.

3. 고장이 잘 안난다

  • 모터와 자기장치보다 고장날 확률이 훨씬 적습니다.

4. 가볍다

  • 메모리이기 때문에 무게도 가볍습니다.

5. 작아질 수 있다.

  • 사이즈가 작아지는것도 하드디스크보다 훨씬 제약이 작습니다.


SSD의 단점

1. 비싸다 : 유일한 단점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가격이 아직 하드디스크에 비해서 고가입니다. 하지만 갈수록 가격이 내려가고 있기 때문에 단점이 적어지고 있습니다.


아래의 전문적인 글을 읽어보시면 더 이해가 빠를 것 같습니다.


○ [IT STORY] 저사양 노트북에 SSD가 꼭 필요한 이유 (바로가기)

○ [인터넷방송] 5년된 컴퓨터, 부품 하나 바꿨더니 최신형 되다? (차정인기자의 T타임 38회, 13.04.11) (바로가기)




'Easy PC > PC 하드웨어-기본사항'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소음PC 구축해서 사용하기  (0) 2014.05.29
컴퓨터의 구조에 대해서  (0) 2014.05.29


컴퓨터 구조는 이렇게 생각하시면 이해가 빠를 것 같습니다 


1. 케이스를 준비한다.

2. 케이스에 메인보드를 고정시킨다.

3. 케이스의 상태를 표시하는 LED의 동작을 위해 메인보드와 케이스를 연결한다.

4. 메인보드에 전원을 공급하는 파워를 연결한다.

5. 메인보드에 사람의 머리에 해당하는 CPU를 연결한다.

6. 메인보드에 메모리 (RAM)을 연결한다.

7. 메인보드에 저장장치(하드디스크)를 연결한다.

8. 메인보드에 키보드와 마우스를 연결한다.

 

출처 : 위키백과 - PC (바로가기)

 

'Easy PC > PC 하드웨어-기본사항'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소음PC 구축해서 사용하기  (0) 2014.05.29
SSD 총정리  (0) 2014.05.29



1. 가장 쉬운 방법은 NumLock를 켜고 Ctrl-Alt-Del을 사용해서 로그오프하는 것입니다. 시작 메뉴로부터 로그오프하면 NumLock의 상태는 보존되지 않습니다.


2. PC의 바이오스 (메인보드 설정) 을 확인합니다. 


처음 부팅할때 "Del" 또는 "F2"키를 누르시고 CMOS 셋업 화면으로 들어갑니다.

"Advanced BIOS Features" 혹은 "BIOS Features Setup"항목으로 들어가서 "Boot Up NumLock Status" 항목 선택합니다.

이 값을 "ON 또는 Enabled"로 바꾸시고 저장하고 나오시면 됩니다.


3. 레지스트리 값 변경

윈도우2000, 윈도우XP, 윈도우7, 윈도우8 공통입니다.

시작 > 실행 > 레지스트리 편집기 (regedit) 실행합니다.

"HKEY_CURRENT_USER -> ControlPanel -> Keyboard" 항목에서 "InitialKeyboardIndicators" 항목의 키값 2 로 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