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을 읽다보니 24인치 PLS모니터중에서 기본적으로 갖춰야 할 것은 갖추면서 가격도 저렴한 제품이 소개가 되었는데요, 엑스스타 DP2450LED HDMI 라는 제품인데요, 좋아보입니다.
○ 테크홀릭 - 싸고 좋은 제품 있다? 24인치 PLS 모니터 찾는다면 (14.03.19) (바로가기)
2014.04.18 기준 네이버 최저가는 146,480원입니다.
글을 읽다보니 눈에 들어오는 부분이 보이네요.
이른바 ‘기본기’를 희생한 제품들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이들의 특징은 크게 3가지다.
▲밝기, 수명, 전기 요금에서 취약한 CCFL 광원을 사용하거나,
▲저가형 패널을 사용하거나,
▲저가 AD보드를 채용해 내구성과 기능 면에서 부실한 특성을 보이는 것이 그것이다.
즉 CCFL광원을 사용하거나, 저가형 패널을 쓰거나 저가 AD보드를 쓴 거는 너무 싸도 사지 말라는 것입니다.
여기서 LCD관련 용어가 어렵네요. 한번 찾아보았습니다.
LCD 모니터 관련 용어 설명 (출처 : 스마트PC사랑 - 바로가기)
광원
LCD 모니터는 자체로는 빛을 만들어내지 못한다(자체발광이 가능한 아몰레드는 LCD가 아니다). LCD는 백라이트의 도움을 받아 나오는 빛을 조절해 화면을 출력한다. 광원은 LCD 모니터에서 사용하는 백라이트 종류를 말한다. 광원은 CCFL과 LED 두가지가 있다. CCFL은 초창기 LCD모니터에서 사용하던 백라이트이다. 냉음극관이라고 불리며 가는 관 모양의 형광등으로 생겼다. LED는 최근 CCFL을 대체해 사용되고 있으며 발열, 소모전력, 환경적 측면과 모니터부피, 수명에서 CCFL에 우위를 가진다. 그러나 CCFL은 색 재현율이
LED에 비해 월등하다. 때문에 디자인 작업이나 사진작업에는 CCFL 모니터가 선택받는 경우가 있다.
패널
패널의 사전적 의미로는 ‘CRT 디스플레이 등에서 표시 형식이나 표시 내용, 입력의 조건들이 정해지는 화면’으로 표기된다. 알기 쉽게 이해하자면 모니터에서 실제로 우리가 보게 되는 화면이 패널이다. 아주 크게 보면 모니터 그 자체라고 해도 될 정도다. 패널에 따라 LCD 모니터의 특성이 틀려진다.
TN(Twisted Nematic)패널 : 소비 전력이 적고 응답속도가 빠르다. 응답속도가 빠르면 잔상이 적어 빠른 반응속도를 요구하는 게임에 알맞다. 그 무엇보다도 최대의 장점은 가격이 저렴하다는 점이다. 하지만 단점도 제일 많다. 색감은 IPS, VA보다 떨어지며 명암은 VA보다 좋지 않다. 디스플레이가 커질수록 명암 왜곡현상이 심해진다. 마지막으로 시야각이 가장 나쁘다. 덕분에 패널 종류도 알아보기가 가장 쉽다. 위, 아래에서 바라봤을 때 명암이 뒤바뀌거나 선명하지 않은 화면이 나오면 TN패널이다. 어떻게 보면 PC 사용자에게 바른 자세를 유도해 건강을 챙기게 하는 패널이다.
IPS(In-Plane Switching)패널 : 상하좌우 약 178도의 광시야각을 지원한다. TN패널보다 응답속도는 느리지만 실체감은 느끼기 힘들어 게임을 즐기기에도 전혀 무리 없는 수준이다. 색감도 좋다. 터치스크린에 유리한 분자구조로 되어 있어서 최근 많은 스마트폰 업체들이 채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애플의 레티나 디스플레이는 AH-IPS 디스플레이의 다른 이름이다. 또한 가격에서도 E-IPS 등의 패널은 TN 못지않다. 그만큼 약점이 제일 적으며 범용성이 좋다. 그러나 단점은 VA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명암비이다. 이것이 상대적으로 아쉬운 부분이다.
VA(Vertical Alignment)패널 : 기존의 TN의 제조공정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으며, TN의 광시야각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나온 패널이다. 명암비가 좋은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명암비 덕분에 풍부한 색 재현력도 갖추고 있으며 IPS 못지않은 광시야각도 갖추고 있다. 그러나 응답속도가 낮은 것이 단점이다. 빠른 영상을 볼 때 잔상이 생길 수 있다. 또한 외부 압력에 약해 균일성과 안정성이 떨어진다. 터치를 해서 압력을 가하면 복원속도가 무척 느리다. 블랙색상의 심도가 깊기 때문에 사진 작업용에 잘 어울리는 패널이다.
엑스스타 DP2450LED HDMI 의 패널은 PLS인데요 상하좌우 178도에 이르는 광시야각 PLS 패널 또한 IPS 방식 패널에 손색이 없다. PLS와 IPS가 명칭만 다를 뿐 사실상 같은 기술인 점을 감안하면 당연하다 라고 하네요.